안녕하세요 :)
이번에는 SQL에서 사용하는 간단한 구문들이
Power BI에서는 어떻게 동작하는지 예시를 통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샘플 Data
실습할 Data는 다음과 같습니다.
Power BI에 다음과 같은 Data Set을 준비하였습니다.
1. A Table 명 : 수학과학
이름 | 수학 | 과학 |
홍길동 | 60 | 80 |
이순신 | 70 | 60 |
세종대왕 | 50 | 40 |
광개토대왕 | 40 | 30 |
2. B Table 명 : 국어영어
이름 | 국어 | 영어 |
홍길동 | 80 | 60 |
이순신 | 70 | 50 |
세종대왕 | 100 | 70 |
광개토대왕 | 90 | 60 |
병합
Home -> 쿼리 병합 -> 쿼리를 새 항목으로 병합
여기서 "쿼리 병합"과 "쿼리를 새 항목으로 병합"의 차이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저는 실습을 위해 "쿼리를 새 항목으로 병합"을 수행하겠습니다.
쿼리 병합 | 선택한 테이블에서 병합 진행 |
쿼리를 새 항목으로 병합 | 새로운 테이블을 만들어 병합 진행 |
수학과학 테이블과 국어영어 테이블을 "이름"이라는 열을 기준으로 병합
여기서 조인 종류를 보면 "왼쪽 외부"라고 선택이 되어있는데 해당 종류가 SQL 병합 기법 중
Left Outer Join을 의미합니다.
병합 종류를 잘 모르신다면, SQL 기초에 대해 작성한 게시글이 있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ISTJ의 궁서체 Data]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ISTJ의 궁서체 Data]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Data를 보관하고 많은 사람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Database"에서 Data을 Control 하는 방법에 대해 공유 해드리고자 합니다.Power BI 또한 SQL 기반으로 동작하는 것입니
datasrep.tistory.com
병합 수행 시 아래와 같은 결과가 출력되면서 "병합1"이라는 새로운 테이블이 생성됩니다.
국어, 영어 열을 가져오면 우리가 원하는 병합의 기능이 완벽하게 수행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해당 기능이 SQL 구분 기반으로 동작을 하게 되는데
구문으로 기능을 해석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SELECT 수학과학.이름, 국어영어.국어, 국어영어.영어, 수학과학.수학, 수학과학.과학
FROM 수학과학
LEFT OUTER JOIN 국어영어
ON 수학과학.이름 = 국어영어.이름;
병합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바로 "KEY" 선정입니다.
대부분 Database ERP 작성 부분에서 "KEY"를 선정하고 설계를 하시는데,
"KEY"에 대한 Content는 추후에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필터
필터링이란?
- 특정 조건에 맞는 데이터만을 선택하여 조회하거나 추출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해당 테이블에서 국어점수가 100점인 항목을 필터링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Power BI Dashboard에서는 어떨까요?
해당 기능도 병합과 마찬가지로 SQL 기반으로 동작하게 되는데
구문으로 기능을 해석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WHERE : 조건 추가 구문
SELECT *
FROM 병합
WHERE 국어 = 100;
반대로? 국어점수가 100점이 아닌 것을 뽑으려고 한다면?
SELECT *
FROM 병합
WHERE 국어 <> 100;
만약? 국어가 NULL 값을 가질 수 있다면 NULL 값은 따로 처리를 해줘야 합니다.
SELECT *
FROM 병합
WHERE 국어 <> 100 OR 국어 IS NULL;
Power Query, Dashboard에서 하는 방법은 한 번 직접 실습을 해보시면 좋을 것 같네요 :)
감사합니다!
'Power BI 글모음 > SQL-Power BI' 카테고리의 다른 글
Key used for modeling in Database & Power BI (0) | 2025.01.05 |
---|---|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5) | 2024.12.24 |
SQL-Power BI의 관계 (0) | 2024.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