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1. 칼퇴를 위한 업무 자동화: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안녕하세요.
데이터스랩 일잘러미니쉘입니다.
어떠한 주제로 이야기를 할까 고민을 하다
회사원이라면 누구나 기다리는 시간은 퇴근!이 아닐까 싶어,
칼퇴를 위한 업무 자동화에 대해서 조금씩 풀어가보려고 합니다.

반복적이고 규칙적인 업무를 자동화 하는 것을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라고 합니다.
RPA는 사람이 해야하는 업무를 대신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휴먼에러를 줄이는 등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RPA는 어떤 곳에 사용하는 것이 좋을까요?
반복적이고 규칙적인 업무가 많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을 할 수 있는데
계좌 개설, 대출 심사 등 고객 정보를 자동으로 처리 검토하는 금융서비스,
송장 처리, 세금 계산서 작성 등 회계 및 재무 업무,
헬스 케어, 고객 서비스, 인사 및 채용 등 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물론, RPA를 도입하는데에 있어서는 고려해야 할 요소들이 있습니다.
1. 프로세스 적합성: 업무가 규칙적이고 반복적인가
업무가 복잡하고 변동이 많다면 자동화와는 맞지 않습니다.
2. 기존 시스템과의 통합: 기존 시스템과 연동이 되는가
데이터를 주고받는 과정에서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전 준비가 필요합니다.
3. 보안 및 데이터 보호: 민감 데이터는 보안 처리가 되는가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 정책에 준수하여 보안을 강화해야 합니다.
그래서, 업무 자동화 어떻게 하는건데!???
요즘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언어는 파이썬(Python)인 듯 합니다.
아무래도 프로그램 언어이기 때문에
비개발자라면 시작부터 난관에 부딪힐 수도 있고
내가 원하는 WorkFlow를 구현해내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할 수 있습니다.

그에 반하여, 제가 이야기 하려는 업무 자동화를 위한 주 사용 프로그램은 엑셀(EXCEL)로
익숙한 환경에서 직관적으로 자동화 할 수 있고
엑셀의 기본 기능인 VBA(Visual Basic for Applications)를 사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외부 도구나 설정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글이 조금 길어졌는데 결론은,
엑셀 어디까지 써봤니? 라는 느낌으로 가볍게 생각하고 봐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